밭에 심었던 나무들은 흙을 받고 정지작업을 하면서 뽑아서 모아 놓았는데 석축작업과 밭 정리가 끝나

 

야 제자리로 옮겨 심는데 아직도 공사를 하고 있으니 지옥과 천당을 오가고 있다.

 

 

두릅나무는 대충 심어 놓았는데 순이 올라와서 따지도 못하고 좌악 펴졌다. 아깝다.

 

 

토종매실인것 같은데 .... 

 

 

앵두나무도 싹이 나왔고 꽃도 보인다.

 

작년에 심었던 앵두나무도 여기까지는 잘 자랐는데 여름 폭우에 완전히 맛이 가서 새로 심었다.

 

 

이것도 명찰이 물에 젖어서 어디론가 없어져 버려서 뭔 나무인지 ... 아무래도 자두(포모사)같은데

 

유실수는 밤나무,자두나무,매실나무,호두나무,모과나무를 심었으니 그 중에 하나인데 아무래도 모르겠

 

고 기다려 봐야 족보를 알겠고

 

 

이번에 심은 소나무 묘목들도 그럭저럭 살아있는데 다음에는 비닐로 멀칭을 해놓아야 잡초를 막을터

 

이니 잡초가 나오기 전에 멀칭을 하려고 준비중이다. 

 

 

흙을 받느라 옮겨심은 나무들이 정리가 끝나기를 기다리고 있다. 금년에 벌써 두번째 옮겨심기를 해야

 

하니 나무들도 스트레스를 엄청받겠다.

 

 

산수유,전나무,소나무

 

 

단풍나무와 왕벚나무

 

 

가식해 놓은 왕벚과 접목홍단풍

 

 

백목련은 새싹이 보이고 잎도 나와있는 상태

 

 

자목련은 아직도 웅크리고 있는데 곧 싹이 트려는 모습을 보인다.

 

 

전나무와 매실나무

 

 

심은지 이년이 지난 소나무는 전부 죽은듯 누렇게 보인다.

 

그런데 여기는 잡초가 벌써부터 기승을 부리고 있다. 썩을 놈의 잡초들을 없애야 하는데 이것들을 확

 

 

자세히 소나무의 잎을 살펴보니 이것들이 죽은게 아니고

 

 

묶은잎은 누렇게 죽는데 이렇게 새순이 보이고

 

 

파랗게 올라와서 곧 잎을 펼칠 기세를 보인다.

 

 

마치 사막에 선인장같은 모양으로 

 

 

새순이 나오고 있다.

 

 

죽은듯 살아있다. 

 

이제 새순이 나와서 퍼지면 소나무의 새로운 모습을 보여줄 것인데 여기는 잡초가 유난히 많이 보인다.

 

 

밭둑에 심었던 잣나무도 새순이 보인다.

 

 

전나무 세그루와 

 

 

단풍나무 세그루는 석축이 쌓이고 나면 석축위로 옮겨서 심고

 

 

홍단풍도 새싹이 나오고 있는중

 

 

빨리 공사가 끝나야 어떻게 정리를 하는데 아직은 심란하다.

 

 

 2004년 봄에 밭둑에 심어서 제법 많이 자란 키큰 소나무는 옮기고 나서부터 죽기 일보직전이다. 

 

불쌍한 소나무를 빨리 옮겨 심어서 살려야 하는데 공사가 끝나야지 공사가.

 

 주천면에서 더덕망과 퇴비를 사면서 오이,풋고추,방울토마토 그리고 가지모종을 12,000원에 구입해서

 

운학리로 향했는데 운학리는 아직도 공사중이라서 심지않고 그냥가려고 했는데 남사장이 감자를 심은곳

 

근처에는 심어도 괜찮다고 하기에 옆지기와 부랴부랴 채소모종을 내리고 호미와 삽을 가지고 밭으로 향

 

했다.

 

 

우선 곰취모종이 100주인데 뿌리가 모판에 달라 붙어서 빼기가 쉽지가 않다. 

 

줄기를 잡고 쭉쭉 잡아 뽑아서 심었다.

 

 

자두묘목옆에 곰취모종을 심었다.

 

 

땡볕을 가릴 그늘막을 만들어 주어야 하는데 곰취가 잘 자랄지 걱정이다. 

 

바쁘니 오늘은 그냥 가고 그늘막은 화요일에 와서 해주마.

 

 

물도 흠뻑 주고 

 

 

빨리 돌아가야 하기 때문에 옷도 갈아입지 못하고 그냥 호미로 방울토마토 모종을 심었다.

 

 

방울토마토 다섯주

 

작년에도 다섯주를 심어서 이주만에 한번 오니 먹은것 보다는 땅에서 뒹구는게 더 많았었다.

 

 

방울토마토 모종.

 

 

주천면에 있는 종묘상에서 오이모종을 사면서 몇주를 살까 망설이고 있었더니 오이모종 다섯주면 한 가

 

족 실컷 먹는다고 해서 다섯주만 구입했다.

 

 

오이....   처음에는 호박인줄 알았는데 오이라고 한다.

 

 

풋고추모종도 25주를 심었다. 

 

땡볕이 내리 쬐이는 더운 날 찬물에 밥 말아서 풋고추를 고추장에 푹 찍어서 먹으면 음 ~만사 오케이.. 

 

 

풋고추 모종

 

 

가지모종.

 

옆지기는 가지가 무슨 맛이 있냐고 하는데 맛이 왜 없냐 맛만 좋지.

 

 

 가지 다섯주.

 

자 이제는 채소모종에 물을 흠뻑 주어야 하는데.....

 

 

밭 옆으로는 산에서 내려오는 물이 흐르는데  이물을 물통에 받아서

 

 

채소모종에 물을 주었다. 강원 영서지방에는 오후 늦게 비가 온다는 일기예보가 있으니 비만 내리면

 

모종에게는 큰 도움이 될것이다. 

 

앞으로는 마당에 수도를 연결해 놓을것이니 호스로 쉽게 물을 줄수 있을것이고 조금만 기다려라 물을

 

흠뻑 줄테니

 

 

채소밭 전경.

 

더덕,감자,고추,오이,가지,방울토마토를 심었는데 수확이나 제대로 할지 지금부터 고생문이 열렸다.

 

 

베란다에서 키우는 더덕과 밭에서 키우는 더덕은 수세가 확연하게 차이가 난다.

 

베란다에서 크는 더덕을 줄기가 가늘고 길게 올라가는데 반해서 밭에서 크는 더덕은 줄기가 튼실하고 굵

 

게 올라왔다.

  

 

줄기도 밭에 더덕은 여러개인데 베란다에서 크는 더덕은 줄기가 하나만 올라와 있다.

 

 

더덕망을 사가지고 갔는데 깜빡 까먹고 차 뒷자석에 그냥 모시고 왔다. 

 

그리고 대학찰옥수수도 밭에 심지 않고 그냥 가지고 왔다는....

 

밭에 부려준다고 주천에서 산 퇴비도 뿌려주지 않고 그냥 두고 왔다는....

 

역시 칸나도 그냥 가지고 .........

 

치매증세인가....요새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감자도 싹이 많이 나왔다.

 

지금까지 밭에 심었던 농작물중에 유일하게 감자는 수확을 제대로 했었다. 고마운것들 같으니

 

 

감자밭 세고랑.

 

검은비닐로 멀칭한 두고랑과 오른쪽에는 비닐멀칭을 하지 �고 그냥 심었는데 그곳에도 싹이 나왔다.

 

옆지기는 열심히 채소모종에 물을 주고있다.

  

 

감자가 많이 자랐다.

 

앞으로 야콘모종과 고구마순도 심어야 하는데 밭정리가 대충 끝나야 할텐데 언제나 정리가 끝날지.

 

지금까지 심기는 많이 심었는데 감자를 빼고는 제대로 수확해 보지 못했었는데 이번에는 끝장을 봐서

 

라도 수확을 해야겠다.

'어설픈 주말농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촌곤드레밥의 청국장과 된장찌개  (0) 2007.05.06
나무는 지금...  (0) 2007.05.05
운학리는 아직도 공사 중이다.  (0) 2007.05.05
칸나와 곰취  (0) 2007.04.29
농작물  (0) 2007.04.29

 신흥중기 남사장이 토요일 이동식주택 수평을 맞추고 조금 뒤로 이동시킨다고 하기에 오늘도 새벽밥을

 

거르고 이른 새벽에 운학리로 달렸다. 어린이날이라 그런지 6시에 올라선 영동고속도로는 여전히 정체 중

 

이다. 양지까지 막히고 그 뒤로는 주~욱 달렸다.

 

 

여주를 지나면서부터 안개가 자욱하게 밀려오고

 

 

주천읍내에서 채소모종과 퇴비를 구입하고 주천강 방향으로 해서 운학리로

  

 

물 맑은 주천강은 유유히 흐르고.

 

 

우선 터에는 아직 물이 없으니 두산약수터에서 물을 받았다.

 

 

작년 가을부터 물이 나오지 않아서 영월군청에 문의했더니 가을이라서 수량이 약하고 약수터 위에 들어

 

선 주택에서 지하수를 개발해서 그렇다고 했는데 이제는 봄이라 그런지 물이 제법 쏟아진다.

 

약수를 받아서 차를 몰고 터에 도착하니

 

 

이제서야 뒷 도로와의 경계에 석축을 새로 쌓으려고 그전에 쌓여있던 석축을 허물면서 정리하고 있다.

 

내가 미쳐요 미쳐 이제서야 작업을 시작했구만 ...

 

 

마당에는 600미리 콘크리트 수로관이 트럭에 실려있고

 

 

뒷집 정화조 배관에서 나오는 물과 빗물을 내려 보낼 pe관을 묻고 있다.

 

 

산에서 내려오는 물과 우수배관을 묻고 흙으로 정리하고 있는데 저렇게 두면 산에서 내려오는 물에 흙이

 

쏠려서 pe관 옆으로 쌓이면 물이 제대로 흐르지 않을 것 같은데 어떻게 하려는지

 

 

석축을 쌓을

 

 

커다란 돌무더기가 마당에 널부러져 있다. 일요일과 월요일에 다 쌓는다고 하는데 과연 다 쌓을 수 있을

 

지 걱정이다.

 

 

pe관을 묻고 석축을 쌓기 위해서 작업중인 굴삭기.

 

 

진입로와 우측경계부분에 쌓을 돌이 보인다.

 

 

그 동안 물이 고여서 지저분하던 배수로를 대충 정리했는데

 

 

컨테이너 뒤로 공간이 많이 생겼다. 배수로를 정리하고 석축을 쌓고 나서 컨테이너를 뒤로 더 밀어내면

 

앞 마당이 더 넓어진다. 뒤로는 나무를 심고 석축사이에는 꽃씨를 뿌리려고 잔뜩 가지고 갔는데 ....

 

 

배수로가 정리되니 속이 다 시원하다. 물이 고이는 자체가 싫었는데.....

 

 

돌이 15톤 덤프트럭으로 12차가 들어왔다고 한다. 전체적인 현장 모습.

 

오늘도 남사장은 화요일까지 완료한다고 화요일 오후에 오라고 한다.

 

화요일 정화조,수도연결공사,화장실 미장및 타일을 부착하고 전기도 연결한다고 하는데 과연 화요일에

 

휴가를 내고 운학리에 가야 되는지 가서 또 헛걸음을 치지나 않을지 걱정이다.

 

일단 오면서 수돗가에 느티나무를 하나 심어준다고 했으니 그 옆에 야외 테이블로 쓸만한 큰돌을 하나 놓

 

아달라고 했는데 아무튼 작업 할 내용은 너무 잘 아는 남사장이 화요일 작업을 완료하기를 기다릴 수밖

 

에 없다. 으이그 ~ 으이그 ~ 남사장. 

'어설픈 주말농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무는 지금...  (0) 2007.05.05
채소 모종을 심고  (0) 2007.05.05
칸나와 곰취  (0) 2007.04.29
농작물  (0) 2007.04.29
이동식주택 터잡기.  (0) 2007.04.29

지난 일요일 옆지기는 사무실에서 야유회를 간다며 아침 9시에 집을 나섰고 토요일 집에서 하루종일 저

 

녁늦게 깜깜해 질때까지 집을 지키고 밥도 제 시간에 못먹었던 제제가 안스러워서 콧바람이라도 넣어 주

 

려고 밖으로 나갔다.

 

모락산 자락에 있는 아파트 주위에는 숲이 우거져 있는데 잣나무가 우거진 나무 아래에서 두릅나무가 자

 

라고 있고 제법 순이 올라와 있는데 제제가 같이 있어서 비탈길에 숨어있던 두릅을 따지 못하고 그냥 구

 

경만 하고 지나쳤다 산책하는 사람들이 보았으면 왠 떡이냐고 따가지고 갔을텐데 잣나무 아래 비탈길에

 

숨어있어서 아직까지 온전하게 새 순을 올리고 있는것 같다.

 

 그리고 아파트 단지안에서 초등학교 담장을 끼고 산책을 하다가 파고라 아래에서 조금 쉬고 집으로 향

 

했는데 아 글쎄 제제놈이 저 혼자 쫄랑쫄랑 걷는데 집으로 잘 �아가는것 같아서 내친김에 뒤를 쫓아서

 

현관을 들어서면서 이따가 옆지기가 야유회에서 돌아오면 제제가 집을 그냥 혼자서도 잘 찾아오더라고

 

자랑을 해야겠다고 생각하면서 엘리베이터에 오르고 17층에 내렸는데 비상계단에 왠 못보던 물건들이

 

잔뜩 쌓여있기에 앞집에서 언제 밖에 내놓았지 하면서 현관문의 비밀번호를 삑삑 두번을 눌렀는데 안에

 

서 개 짖는 소리가 요란하다.

 

헉 제제한테 속았다. 이년전인가 그때도 아침운동을 하다가 집에 오는 길에 옆동으로 잘못가서 비밀번호

 

를 눌러도 문이 안 열리기에 보니 다른동에서 생 쇼를 하고 도망치듯 빠져나와서 웃었는데 지난 일요일

 

에는 제제에게 사기를 당해서...헐.. 잽싸게 15층으로 도망쳐서 엘리베이터를 타고 도망나왔었다.

 

아 글쎄 콩깍지가 끼면 앞이 안보인다더니 일층에 내려서 보니 어린이집이라고 온통 현관입구를 도배해

 

놓았던데 일층에서 엘리베이터를 타면서 그걸 못보고 지나쳤다니  아무래도 제제가 혼자서 집을 �아간

 

다는 기대 때문에 그런일이 생긴듯하다.   

 

 

 

파란색이 우리 집이고 일요일에 잘못 �아갔던 집이 붉은색인데 향이 같고 조경도 비슷해서....짱구됨.

 

 그리고 오늘은 근로자의 날이라고 아침 열시에 의왕동물병원에 제제 미용을 예약했었다.

 

발바닦에 털이 많이 자라서 앉아있으면 발바닦의 털 때문에 발이 스~윽 밀려서 걸을때도 미끄러지고

 

이참에 피부가 좋지않으니 귀털부터 시작해서 몽땅 깍아버렸다.

 

 

어제 밤에 침대에 누워서 뻗어있다.

 

 

온통 북실북실 털이 길어서 눈도 가리고 밥을 먹을때 귀털이 물그릇에 빠지고....

  

 

앞발도 털이 이렇게 많이 자랐으니 걸을때마다 미끄러지고 쇼파도 못올라가서 올려 달라고 낑낑댄다

 

 

뒷발은 아예 기다랗게 수염이 달렸다.

 

 

발톱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털이 수북하다.

 

 

귀털도 많이 자랐고 

 

 

뒷다리는 털 때문에 어딘지 구분이 불가..

 

 

얼굴도 북실북실하던 머털이 제제가

 

 

이렇게 불쌍하게 털이 박박 밀렸다. 그리고 집에 와서는 이렇게 불쌍한척 한다.

 

털밀고 꼬리염색에 이만오천원 

 

 

이제야 앞 발바닦인지 구분이 가고

 

 

꼬리도 분홍색으로 염색을 했다.

 

 

뒷 발바닦도 깨끗

 

 

왠지 졸려운 분위기인데

 

 

머리를 쳐박고 있다가

 

 

 간식을 준다고 하니 눈이 초롱초롱 빛난다. 

 

상팔자 개시끼. 내가 일요일 너한테 속은 생각을 하면 확 ~ 그냥.

'강쥐 제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제가 퇴원했다.  (0) 2007.07.22
말썽꾸러기 제제  (0) 2007.05.24
바깥 나들이  (0) 2007.04.15
태클쟁이 제제  (0) 2007.03.12
제제 미용 하는 날  (0) 2007.02.25

 삼 년 전에 옆지기와 궁평리로 바람을 쐬러 갔다가 그 마을의 초입에 키카 크고 커다란 붉은 칸나가 심겨

 

져 있는 걸 보고는 나중에 운학리에 집을 지으면 구입해서 심자고 했었는데 인터넷에서 검색해 보았더니

 

마침 키가 큰 붉은 칸나를 판매하는 곳이 있어서 구근 20개를 구입했는데 어제 영월에 가고 있는데 택배

 

기사로 부터 전화가 왔었다. 그래서 경비실에 맡겨두라고 했는데 오늘 택배박스를 열어보니 키가 큰 칸

 

나라 그런지 구근도 꽤 크다.

 

궁평리에서 바람에 일렁이는 붉은 칸나가 지금도 눈에 어른거린다. 너무 이쁘고 환상적이었는데 벌써부

 

터 운학리에 키가 큰 붉은 칸나가 바람에 흔들리는 모습을 생각하면 가슴이 설레인다.

 

 

홍초과(紅蕉科 Cannaceae)의 단일 속(屬)인 홍초속(Canna)에 속하는 약 500여 종(種)의 다년생초.

 

비늘줄기성 식물로 서인도제도와 중앙 아메리카의 열대·아열대 지역에서 자생한다. 칸나 인디카(C.indica)를 비롯하여 100종 이상의 원예품종이 있으며 온대지방의 온실, 열대지방의 정원에서 흔히 재배되고 있다. 땅속의 비늘줄기에서 길이가 50~200㎝인 줄기가 나오는데 큰 타원형의 잎이 달린다. 잎의 중앙맥[中肋]은 뚜렷하다. 빨간색·노란색·보라색·오렌지색·흰색 등의 꽃은 6월부터 서리가 내릴 때까지 암술과 수술이 있는 양성화로 총상(總狀)꽃차례를 이루며 핀다. 꽃잎과 꽃받침잎은 3장이다. 열매는 구형의 단단한 씨가 들어 있는 삭과(果)이다. 관상용의 원예품종 칸나는 종간교배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대부분 씨를 맺지 못한다. 칸나는 내한성(耐寒性)이 약하지만 양지바르고 배수가 좋으면 잘 자라고 공해에도 강하다. 칸나 에둘리스(C.edulis)는 'purple or Queensland arrowroot'이라는 일종의 녹말을 생성하는 식용작물로, 경제적인 가치가 높아 여러 나라에서 재배된다

 

 

 

 

 

 

붉은 칸나들 모습이 너무 예뻐서 인터넷을 돌아다니면서 사진을 찾아왔다.

 

 

키큰 붉은 칸나 구근은 보통의 구근보다 크기가 조금 더 크다.

 

키가 2미터이상 크고 겨울철에는 뿌리를 캐서 보관하고 봄에 다시 심는다고 한다.

 

 

 

 

칸나만 주문했는데 조그만 봉지에 록시라는 팼말과 구근이 여러개 들어있다.

 

인터넷으로 검색해 보니 록시라고는 나오지 않는데... 뭘까. 궁금해진다.

 

 

이런 록시라는 구근이 여러 개 들어있는데 일단 화분에 심어봐야지.

 

 

영월에 심은 더덕종근은 이제서야 싹이 올라오는데 베란다에 심어놓은 더덕종근에서는 이렇게 자라서

 

줄을 타고 위로 많이 올라가서 베란다 천장까지 자랐다.

 

옆지기는 "밭에서 더덕만 캐와 그럼 더덕구이 맛있게 해 줄께" 하는데 더덕은 이삼 년을 키워야 먹을만큼

 

자란다고 하는데 언제나 먹을 수 있을런지 쩝~쩝.

 

 

종로5가 묘목시장에서 구입한 반송에도 순이 막 피어난다.

 

 

어제 운학리에 고이 모시고 갔다가 깜박 잊고 다시 모시고 온 곰취모종은 베란다에 내 놓고 물을 흠뻑

 

뿌려주었다. 일주일은 베란다에서 키우고 다음 주 토요일에 다시 모시고 가서 심어주려고 공을 들인다.

 

 

곰취가 잘 자라야 곰취잎에 삼겹살 구워서 소주 한잔 할텐데 시작부터 이러니 ..

 

 

거실에 있는 황금마삭줄도 잎이 많이 나오고 잎이 점점 커지고 있다.

'어설픈 주말농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소 모종을 심고  (0) 2007.05.05
운학리는 아직도 공사 중이다.  (0) 2007.05.05
농작물  (0) 2007.04.29
이동식주택 터잡기.  (0) 2007.04.29
곰취모종과 씨감자  (0) 2007.04.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