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일.. 그냥 집에 있으면 하는 일도 없이 시간만 축낼 것 같아서 딸래미를 책마루로 보내고 옆지기와 대충 물만 챙겨서 집
을 나섰다. 목적지는 수원과 화성의 경계에 위치한 칠보산.
높이 238m인데 원래 화성시 매송면에 속해 있다가 1987년 수원시로 편입되었다고 한다. 예로부터 산삼,맷돌,나무,황금수탉,
호랑이,사찰,장사,금의 8가지 보물이 많아 팔보산으로 불리다가 황금수탉이 없어져 칠보산이 되었다는 전설이 전한다.
정상을 비롯하여 군부대가 있는 234m봉, 잠종장 뒤의 185m봉,개심사 뒤의 165m봉,오룡골 뒤의 187m봉 등 5개 봉우리가 있
고 개심사,용화사,무학사,여래사,칠보사,일광사 등 6개 사찰이 있는데 용화사에서 통신대를 지나 제2전망대,헬기장,칠보산
정상를 지나 잠종장까지 갔다가 다시 오던 길로 돌아서서 제3전망대를 거쳐 용화사로 돌아왔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8/34_blog_2008_10_06_16_39_48e9c09408cb4?x-content-disposition=inline)
칠보산 등산 안내도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5_blog_2008_10_04_21_51_48e766e632e3d?x-content-disposition=inline)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수원이 있는 학생들이 자연보호 캠페인을 나와서 용화사로 가는 좁은 길에는 학생들로 넘친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27_blog_2008_10_04_21_51_48e766e655cc3?x-content-disposition=inline)
우측으로 용화사를 끼고 등산로를 오르고 있다.
얕으막한 산이라서 산행도 아니고 그냥 나들이라는 생각으로 ....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21_blog_2008_10_04_21_51_48e766e673559?x-content-disposition=inline)
용화사 대웅전.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1_blog_2008_10_04_21_51_48e766e6992be?x-content-disposition=inline)
숲으로 들어서서 앞서고 있는 옆지기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0_blog_2008_10_04_21_51_48e766e6c3669?x-content-disposition=inline)
작은 계곡도 보이고 숲이 우거져서 더운 여름에도 시원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2_blog_2008_10_04_21_51_48e766e726e61?x-content-disposition=inline)
경사도 급하지 않아서 숨고르기도 편하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4_blog_2008_10_04_21_51_48e766e74a4b5?x-content-disposition=inline)
통신대 부근에서 내려다 보았는데 안개가 자욱하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5_blog_2008_10_04_21_51_48e766e767575?x-content-disposition=inline)
용화사에서 600미터를 올라왔고 용화사 정상까지는 150미터가 남았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7_blog_2008_10_04_21_51_48e766e78abd3?x-content-disposition=inline)
칠보산에는 유난히 리기다소나무가 많이 보인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8_blog_2008_10_04_21_51_48e766e7aa78c?x-content-disposition=inline)
용화사 정상 부근의 바위를 지나서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1_blog_2008_10_04_21_51_48e766e7c7860?x-content-disposition=inline)
제2전망대에 도착했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24_blog_2008_10_04_21_51_48e766e7e02db?x-content-disposition=inline)
수원 호매실 방향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5_blog_2008_10_04_21_51_48e766e8085a2?x-content-disposition=inline)
산에서 먹는 아이스크림은 꽁꽁 얼어서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24_blog_2008_10_04_21_51_48e766e8256b0?x-content-disposition=inline)
입술이 달라붙을 정도였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32_blog_2008_10_04_21_51_48e766e844296?x-content-disposition=inline)
제2전망대에서 보면 좌측은 화성시 매송면이고 우측은 수원시 호매실동이라고 한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2_blog_2008_10_04_21_51_48e766e86135e?x-content-disposition=inline)
바위 아래에서 잠시 휴식을 취하고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35_blog_2008_10_04_21_51_48e766e87960c?x-content-disposition=inline)
멀리 보이는 화성시 매송면 어천저수지 위로는 고속전철이 지나는 다리가 보인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21_blog_2008_10_04_21_51_48e766e897a5a?x-content-disposition=inline)
칠보산 정상 부근에 있는 헬기장을 지난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29_blog_2008_10_04_21_51_48e766e8c395b?x-content-disposition=inline)
등산로 주변에 있는 커다란 바위에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9_blog_2008_10_04_21_52_48e767125dbf7?x-content-disposition=inline)
작은 돌을 하나 올리고....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2_blog_2008_10_04_21_52_48e7671282da5?x-content-disposition=inline)
칠보산 정상에 있는 이정표에는 잠종장정상까지 1.2키로라고 하는데 왜 잠종장이라고 하는지 궁금해서 잠종장으로 go.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36_blog_2008_10_04_21_52_48e76712a67ed?x-content-disposition=inline)
칠보산은 얕은 산이라고 정상 표지석도 없으니 경계점 위에 올라서서 사진 한 장 박고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2_blog_2008_10_04_21_52_48e76712d712e?x-content-disposition=inline)
칠보산 정상에는 칠보산의 유래가 적힌 안내판이 보인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7_blog_2008_10_04_21_52_48e767130ab86?x-content-disposition=inline)
잠종장으로 가는 도중에 앉아서 잠시 쉬고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27_blog_2008_10_04_21_52_48e76713310ba?x-content-disposition=inline)
리기다소나무 숲을 지났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6_blog_2008_10_04_21_52_48e767135d7a0?x-content-disposition=inline)
엥..... 여기가 잠종장 정상이라는데 왜 잠종장이라고 하는지 궁금해진다. 혹시 누에고치와 연관이 있는 시설?
다시 오던 길로 돌아서서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7_blog_2008_10_04_21_52_48e767137cb90?x-content-disposition=inline)
안개가 자욱하지만 그래도 너른 들판을 배경으로 ...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6_blog_2008_10_04_21_52_48e767147f9e7?x-content-disposition=inline)
제3전망대로 향하는 길.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5_blog_2008_10_04_21_52_48e767139f23b?x-content-disposition=inline)
통신대 철망을 끼고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35_blog_2008_10_04_21_52_48e76713c4bb9?x-content-disposition=inline)
가파른 계단을 올라서서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22_blog_2008_10_04_21_52_48e7671411c56?x-content-disposition=inline)
조금 걷다 보니 제3전망대의 정자가 보이기 시작했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6_blog_2008_10_04_21_52_48e7671458cef?x-content-disposition=inline)
다시 통신대를 지나 용화사 방향으로 하산을 하고 있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5_blog_2008_10_04_21_52_48e76714a43c6?x-content-disposition=inline)
등산화의 끈이 풀려서 다시 끈을 묶고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8_blog_2008_10_04_21_52_48e76714cb0d3?x-content-disposition=inline)
잠시 다리 난간에 숨을 돌리고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24_blog_2008_10_04_21_52_48e76714eb841?x-content-disposition=inline)
용화사에 도착했다. 아침 10시 50분에 올라서 12시 50분에 하산을 완료했으니 딱 2시간 동안의 칠보산 나들이였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2_blog_2008_10_04_21_53_48e76738e31cc?x-content-disposition=inline)
맛이 좋다는 소문을 듣고 점심을 먹으러 찾아간 화성의 辛동태전문점.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5_blog_2008_10_04_21_52_48e767151b80f?x-content-disposition=inline)
옆지기는 배가 고팠는지 반찬으로 나온 땅콩조림을 순식간에 먹어치웠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3_blog_2008_10_04_21_52_48e767153561d?x-content-disposition=inline)
식당 내부는 앉을 자리가 없을 정도로 손님들로 북적거리고 넓은 창으로 보이는 밖의 경치가 시원스럽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0_blog_2008_10_04_21_53_48e76738a980b?x-content-disposition=inline)
동태탕 6,000원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25_blog_2008_10_04_21_53_48e76738c6ced?x-content-disposition=inline)
국물이 얼큰하고 시원해서 밥을 한 그릇 말고 옆지기가 덜어준 밥까지 넣어서 훌훌 말아서 먹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