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인돌과 선운사로 유명한 고창에는 미당 서정주 기념관이 있는데 아침 일찍 보은으로 출발하면서 잠시 들렀다.

 

 

서정주 기념관 모습

 

 

이른 아침이라서 서정주 기념관에는 달랑 우리 둘만....

 

 

서정주 기념관 운동장 옆으로 커다란 자전거 조형물이 서 있는데

 

 

옆으로 자화상이라는 시와 바람의 자전거라는 글이 보인다.

 

'나를 키운 건 팔할이 바람이다'를 조형화 했다고....

 

 

기년관으로 들어오는 입구와 광장.

 

 

미당 시문학관 앞에서

 

 

안으로 들어서면 만나는 ...

 

 

미당문학제...

 

 

옆지기가 미당문학제에서 뭔가를 발표하는 모습이다.^^*

 

 

미당이 사용하던 원형 책상과 의자

 

 

사진들이 전시되어 있다.

 

 

생전의 모습

 

 

<무등을 보며>

 

 

미당이 생전에 사용하던 장농도 전시되어 있다.

 

 

 

<낮잠>

  

 

<무등을 보며>

 

 

<하늘이 싫어할 일을 내가 설마 했겠나?>

 

 

<시론>

 

미당의 시가 걸려 있고

 

 

기념관으로 오르는 계단

 

 

1938.3.27일 결혼사진이 걸려 있고 옆으로는 <나의 결혼>이라는 시도 보인다.

 

 

평소에 사용하던 사전

 

 

시계와 넥타이

 

 

기념관 전망대에 오르면 멀리 미당 서정주 생가가 보인다.

 

 

바람의 자전거

 

 

기념관으로 들어오는 입구

 

 

 

옥상 전망대 난간에는 ....

 

스물 세 햇 동안 나를 키운 건 팔할이 바람이다. 라는 <자화상>의 시구가 보인다.

 

 

기념관을 내려가는 계단

 

 

계단 옆으로는 사진과 시가 전시되어 있고

 

 

계단 옆에 있는 작은 방도 전시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어머니>

어머니 .. 서정주

 

애기야...
해 넘어가, 길 잃은 애기를
어머니가 부르시면
머언 밤 수풀은 허리 굽혀서
앞으로 다가오며
그 가슴 속 켜지는 불로
애기의 발부리를 지키고
어머니가 두 팔을 벌려

돌아온 애기를 껴안으시면

꽃 뒤에 꽃들
별 뒤에 별들
번개 위에 번개들
바다의 밀물 다가오듯
그 품으로 모조리 밀려들어오고


애기야

네가 까뮈의 이방인(異邦人)의 뫼르쏘오같이

어머니의 임종(臨終)을 내버려두고
벼락 속에 들어앉아 꿈을 꿀 때에도
네 꿈의 마지막 한 겹 홑이불은

영원(永遠)과 그리고 어머니뿐이다.

 

 

 

옆지기는 계단에 걸린 사진을 보느라 바쁘다.

 

 

일층에 있는 전시관

 

 

옆지기가 손으로 가리키고 있는 곳에는

 

 

<국화 옆에서>

 

 

사용하던 통장과 다리미...

 

 

관람을 마치고 기년관을 나서는...

 

 

기념관으로 들어가는 입구가 너무 멋있다면서 디카를 들고 먼저 나간 옆지기가 기념관을 빠져나오는 사진을 찍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