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리.목월문학관을 들렀다가 나오는 길에 만나는 불국사

 

 

불국사 매표소로 향하는 옆지기

 

 

경주 불국사

 

 

불국사 매표소를 들어서면 보이는 작은 연못

 

 

천왕문을 향해서 걸었다.

 

 

 안내소에서 스탬프를 찍고

 

불국사 전각 배치도

 

 

자하문

 

 

 

다보탑

 

다보탑多寶塔 (국보 제20호 다보탑)

다보탑은 국보 제20호로 지정된 통일신라시대의 대표적인 석탑이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설법을 찬탄하는 다보 부처님을 상징하는 탑이다.
‘과거의 부처님’ 인 다보부처님이 ‘현재의 부처님’인 석가모니 부처님께
설법할 때 옆에서 옳다고 증명한다는『법화경』의 내용을 눈으로 직접 볼 수 있게
석가탑 옆에 세웠다고 한다.

여러 가지 교설을 나타내고 있다.
높이 10m 40㎝로 대웅전에 석가탑과 나란히 서 있다.
건축 연도는751년로 알려져 있고 현재 남아있지 않은 목조건축 양식을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다보탑은 석가탑과 자주 비교되는데 석가탑이 전형적인 형태라면
다보탑은 가장 개성적인 형태의 탑이라고 말할 수 있다.

 

 

 

불국사 삼층석탑

 

국보 제21호 석가탑

석가탑은 국보 제21호로 지정된 삼국시대의 석탑으로 불국사 대웅전 앞의 다른 석탑인 다보탑과는 달리
당시의 전통적인 석탑양식을 취하고 있다. 탑의 원래 이름은 ‘석가여래상주설법탑(釋迦如來常住設法塔)’으로,
‘석가탑’이라고 줄여서 부른다. 석가모니 부처님과 부처님의 교화를 상징하는 탑으로 높이는 8m 20㎝이고
751년에 세워졌다. 또한 석가탑은 이전에 세워진 감은사지삼층석탑의 형태를 이어받은 우리나라 3층 석탑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다. 탑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는 여덟 개의 연꽃과 회랑은 이 곳이 성역임을 나타낸다.

탑 안에서 발견된 세계 최초의 목판 인쇄물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등 70 여점의 문화재는 일괄해서
국제 제 126호로 지정되어 있다.

 

 

불국사 목어

 

 

불국사 대웅전

 

 

대부분이 외국에서 온 관광객

 

 

삼층석탑을 지나는 모습을 옆지기가 담았다.

 

 

대웅전 내부

 

 

거북이가 북을 받치고 있는 불국사 법고

 

 

나한전

 

 

돌 하나를 올리고

 

 

담장 위 기와에도 소원을 비는 돌탑이 보인다.

 

 

 

불국사 사리탑

 

 

관음전

 

 

극락전 앞에 있는 복돼지를 안고 있는 모습

 

 

복돼지의 주둥이를 꽉 잡고...

 

 

앞에 보이는 연화교와 칠보교

 

연화교와 칠보교는 대웅전 서쪽에 위치한 극락전 영역을 오르는 석조계단으로, 국보 제22호로 지정되어 있다.

보통 연화칠보교라고 부르기도 한다.
양식은 청운교. 백운교와 같으나 규모면에서 다소 차이가 있는데, 연화교는 높이 230㎝, 폭 148㎝이고, 칠보교는 높이 406㎝, 폭 116㎝이다.
계단에 연꽃잎이 새겨져 있는 부분을 연화교라 하고, 칠보교는 금 · 은 · 유리 · 수정 · 산호 · 마노 · 호박의 일곱 가지 보석의 다리라는 데서 그 이름이 유래한다.
이들 계단은 안양문으로 연결되고, 문을 들어서면 아미타부처님의 극락세계인 극락전 영역에 이르게 된다.

 

 

뒤로 보이는 청운교와 백운교

 

청운교. 백운교는 국보 제23호인 석조물이다.
위로는 자하문으로 연결되어 석가모니 부처님이 모셔진 대웅전으로 통한다.
이 계단은 2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아래에 있는 것은 청운교로 길이 6.3m에 17계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에 있는 것은 백운교로 길이 5.4m에 16계단으로 되어 있다.
청운교의 아래 부분은 무지개 모습의 홍예문으로 장식되어 있다.
이들 계단은 부처님이 계신 도리천을 의미하며, 33이라는 숫자는 욕계 제2천인 33천을 상징하는 것이라 한다.

 

불국사 당간지주를 마지막으로 불국사 구경을 마쳤다.

 

 

 

이제는 동해안에 위치한 감은사지로 출발.

 

 

감은사터와 삼층석탑은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위로 걸어서 올라가야 하는데

 

 

감은사터 배치도

 

 

감은사터로 올라서니 불국사에서 보았던 다보탑이나 삼층석탑과는 규모가 다른 웅장한 삼층석탑이 우리를 맞이한다.

 

 

불국사 감은사지

 

삼국유사

》에 따르면,

문무왕

이 왜병을 진압하고자

감은사

를 짓기 시작하였으나 끝내지 못하고 죽었기 때문에,

신문왕

이 부왕의 유지를 이어받아 나라를 지키는 사찰로서 682년(신문왕 2)에 완공하였다.

삼국사기

》에 있는 바와 같이, 이 절의 금당()은 부왕이 죽은 뒤 그 화신인 용이 출입할 수 있도록 신문왕이 건립한 것 같다. 절터는 동해에 이르기 직전의 산기슭에 있는데, 거기에는 큰 3층석탑 2기가 동남으로 흐르는

대종천

()을 앞에 두고 서 있다.

금당터는 비교적 잘 보존되어, 지표()에는 원형 주좌()가 각출()된 1개의 초석이 있고, 곳곳에

사각형

초석()과 대석()이 있으며, 금당 마루를 이루었던 장대석 등이 있다. 중문터와 회랑터의 남쪽 절반 및 금당터의 대부분이 밭이 되었고, 회랑터 북쪽 절반과 강당터는 민가에 들어가 있다. 

 

 

 

삼층석탑이 크고 웅장하다.

 

2중의 기단에

사각형

으로 쌓아올린 3층 석탑으로, 동·서 두 탑이 같은 규모와 구조이다. 2중기단 중의 하층기단은 지대석과 면석()을 같은 돌로 만들었으며, 모두 12장의 석재로 이루어졌고,

상층기단

은 면석을 12장으로 만들었다. 갑석()은 하층이 12장, 상층이 8장이며, 탱주()는 하층에 3개, 상층에 2개를 세웠다.

탑신은 초층이 우주()와 면석을 따로 세웠고, 2층은 각 면을 1장씩, 3층은 전체를 1장의 돌로 앉혔다. 옥개는 옥개석과 받침들이 각각 4개씩이며 받침은 각 층이 5단의 층급을 이루고 있다. 상륜부()는 노반()과 3.3m의 철제 찰간(竿)이 남아 있다. 많은 석재를 이용한 수법은

백제의 석탑

과 같으나, 그것이 목조탑파를 충실히 모방한 것인데 반해 이 석탑의 조형수법은 기하학적으로 계산된 비율에 따른 것이다.

감은사

는 682년(

신라 신문왕

2)에 창건되었으므로 이 탑의 건립도 그 무렵으로 추정되어 가장 오래되고 거대한 석탑이다. 1960년에 서쪽 탑을 해체, 수리할 때 3층 탑신에서 창건 당시에 넣어둔 사리장치가 발견되었다. 

 

 

 

삼층석탑(서탑) 옆으로 보이는 금당터

 

 

중문터가 보이고 우측에 보이는 삼층석탑이 동탑이고

 

 

좌측으로 보이는 삼층석탑이 서탑

 

 

감은사지에서 내려다보이는 연이 자라는 풍경

 

 

옆지기는 벌써 감은사지에서 내려가서 위를 올려다보고

 

 

나는 감은사지에서 아래를 내려다보고....

'세상살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미곶과 양동마을  (0) 2011.07.10
점심으로 먹은 모리국수  (0) 2011.07.09
동리.목월문학관  (0) 2011.07.09
석굴암과 토함산  (0) 2011.07.09
무침회와 함께한 저녁  (0) 2011.07.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