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산대교가 보이는 전망 좋은 곳에서 내려와 차를 오동도로 몰았다.
오동도
여수시 동남단에 조성된 신항(新港)에서 약 1㎞ 떨어져 있다. 1935년에 준공된 연장 1,213m(동쪽 445m, 서쪽 768m)의 방파제로 육지와 연결되었다. 멀리서 볼 때 마치 오동잎처럼 보이고, 오동나무가 빽빽이 들어서 있다 하여 오동도라 했다고 한다. 또한 신이대나무(시누대라고도 함)가 섬 전체에 자생하여 죽도라고도 부른다.
섬 전체가 높이 100m 내외의 완만한 구릉지를 이룬다. 해안은 대부분 암석해안으로 소라바위·병풍바위·지붕바위·코끼리바위·용굴 등으로 불리는 기암절벽이 절경을 이루고 있다. 온난하고 비가 많은 지역으로 다양한 난대성 식물이 자생한다. 동백나무·신이대나무·후박나무·예덕나무·광나무·돈나무 등 총 193종의 수목이 자란다. 해삼·멍게·소라·성게·전복 등과 도미·민어 등이 잡힌다. 이 섬은 임진왜란 당시 수군 연병장으로 이용되었으며, 당시 이순신 장군이 신이대나무로 화살을 만들어 10만 여 명의 왜군을 물리쳤다고 한다. 여수시박물관을 비롯하여 동백림·죽림 등의 식물경관과 기암절벽의 해안경치 및 해돋이 광경이 한 폭의 그림 같아 1968년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일부로 지정되었다. 섬 남단에 오동도 등대가 있으며, 관리사무소와 교통부의 표지기지창(標識基地廠)이 있다. 면적 0.12㎢, 해안선길이 14㎞,
입구에서 오동도까지는 동백열차가 운행을 하는데 벌써 떠나고 없어서 슬슬 걸어서 오동도로 들어갔다.
오동도로 들어가는 방파제
여수항으로 들어오는 배가 보인다.
방파제가 보이는 이 길을 걸어서...
숲이 무성해서 어둡고
밝고
용굴에서 핸드폰으로 통화중인데 옆지기가 디카질을 했다.
여기가 용굴이란다.
오동도의 등대
등대의 기원
등대가 있는 곳은 대나무로 둘러싸여 있다.
오동동등대에 올라
오동도등대에서
등대 앞바다.
분수에서 물이 솟는다.
조명속에서 물이 솟는다.
오동도 선착장.
거북선
오동도 안내도.
자 이제는 갑시다.
여수 횟거리를 파는 도로변에는 이런 풍경도 보인다.
소변금지.
왠지 어두운 밤에 술 한 잔을 걸치고는 바지의 자크를 내리고 깨진 블럭사이로 시원하게 내 뿜고 싶은
그런 풍경이다.
17번 국도로 올라서서 순천을 지나는데 비가 내리기 시작하더니 앞이 보이지 않는다.
언제 구례에 가나 언제....
'세상살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례나들이(노고단대피소-노고단정상 자연관찰로) (0) | 2007.07.22 |
---|---|
구례나들이(성삼재-노고단대피소) (0) | 2007.07.22 |
여수나들이(돌산대교와 바다가 보이는 풍경) (0) | 2007.07.22 |
여수나들이(정말 맛있고 싼 게장백반-황소식당) (0) | 2007.07.22 |
보성나들이(보성녹차밭) (0) | 2007.07.21 |